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ECOMMENDED

[온라인강의] 건축학과에서 살아남기 All in One - 건축학과에서 필요한 7가지 프로그램 학습을 한번에

안녕하세요! 이번에 건축 강의 플랫폼인 PACER에 건축다이어그램 작성에 관한 소프트웨어 학습 온라인 영상 강의를 런칭했다는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1. 강의 내용 건축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의 4가지 유형(대지분석 다이어그램, 컨셉다이어그램, 디자인프로세스 다이어그램, 해체도 다이어그램 등) - 세부 예제 10개를 같이 따라그려보면서   건축학과에서 필요한 7가지 툴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강의입니다. 특히, 라이노 - 일러스트레이터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한 드로잉 작성법을 배우고, 여기에 그래스호퍼, QGIS, PPT, 엔스케이프 등을 보조적으로 배워봅니다. 2. 이런분들이 들으시면 좋아요 이번 강의는 이론부터 실습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리는 입문강의입니다. 그래서, 이제 본격적으로 건축을 공부하고 싶으시고 방학 맞이하신 1~3학년 저학년 친구들이 들어보시면 좋지 싶어요! 4~5학년 고학년 학생들도 아직 툴에 능숙하지 않으시다면 들으셔도 무방합니다! 3. 강의 볼륨 강의는 총 96강 분량으로 약 900분(15시간) 정도 분량입니다. OT 및 마무리 제외 이론부 9강과 실습부 83강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아래는 강의 예시 이미지입니다! 방학기간 동안 저와 같이 스탭업 한 번 해봐요! :) 강의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와 맛보기 강의는 아래 링크 Pace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Pacer 링크 >>>  https://pacer.kr/product/12357/

[건축소프트웨어]건축 주요 소프트웨어 유형별 '가격 비교'(2024.02.28 기준)


안녕하세요 if.h 건축도시정보저장소입니다. 다들 잘 지내고 계시나요?

오늘은 2024년 2월 28일 기준 건축 주요 소프트웨어들의 툴간 가격 차이를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별도의 긴 글 없이 간략한 설명과 함께 간단한 표에 핵심만 담아 제공해드려구 합니다.



1. 건축 주요 소프트웨어 : 조사 목록 

일단 선작업 가능한 툴로는 캐드와 라이노.

모델링 작업 가능한 툴로는 라이노, 스케치업, 레빗, 아키캐드

렌더링 툴 주요 툴로는 엔스케이프, 브이레이, 트윈모션, 루미온

리터치 툴은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발표 및 편집 툴은 인디자인과 피피티를 대상으로 조사했구요.

주요 체험판 기간과 교육용, 상업용,가격을 모두 조사하였습니다.

대부분 툴들이 다 구독제로 이뤄지기 때문에 1년 기준 가격도 함께 계산하여 첨부하였습니다.



2. 건축 주요 소프트웨어 : 가격 비교표

아래는 가격 비교 결과 표 입니다.


대분류소프트웨어 명체험판 기간교육용상업용1년 기준
선작업툴오토캐드30일무료21만원/월연 258만원
라이노90일24만원(단품)130만원 (단품)130만원 (단품)
모델링툴라이노90일24만원(단품)130만원 (단품)130만원 (단품)
스케치업7일4600/월 or 무료4만원/월연 40만원
레빗30일무료31만원/월연 370만원
아키캐드30일1년 무료 사용약4만원/월연 50만원
렌더링툴엔스케이프14일16750/월11만 8천원/월연 153만원
브이레이30일16750/월11만 8천원/월연 153만원
트윈모션무료(비상업)무료(비상업)108만원 (단품)108만원 (단품)
루미온14일1년 무료 사용20만원/월연 239만원
리터치툴어도비 포토샵7일18000/월 (클라우드 전부)24000/월연간 29만원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7일18000/월 (클라우드 전부)24000/월연간 29만원
발표및편집툴어도비 인디자인7일18000/월 (클라우드 전부)24000/월연간 29만원
피피티30일 무료무료7400/월연간 8만 9천원


3. 결론 : 가격의 상승, 구독제로 인한 비용 부담 증대 및 툴의 효율적 선택 필요

제가 이전 글들에서 소프트웨어 툴들 소개 드린 시점이랑 현재 가격이 엄청 뛴것들도 있고, 무료였다가 유료로 변경된 것도 있고 그러네요.

교육용 라이센스만 쓰다가 최근에 상업용 구입할 일이 있어 조사해본건데, 우리가 익숙한 툴들이 이렇게나 가격이 많이 나갔는지 저도 잘 몰랐던것 같아요. 특히 구독제로 전환되면서 매년 비용 지출이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많이 늘게 된 듯 합니다.

상업용 라이센스 가격 기준으로 가격만 놓고 보면, 스케치업이랑 아키캐드가 압도적으로 저렴하긴 하네요..  우리나라 사무실에 스케치업이 잘 쓰일 수 밖에 없는 이유인거 같습니다... 아키캐드는 그리 많이 쓰이진 않지만,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무소 독립하시고 상업용 라이센스를 구입하시려는 분들은 정말 잘 알아보고, 주력 소프트웨어를 잘 골라서 사용하셔야지 싶어요.

예를 들면, 라이노로 도면이랑 모델링 동시에 작업하는 사내 시스템을 구축하시거나, 아키캐드로 통합하는 것도 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학생분들은 교육용 라이센스의 경우 대부분 무료이기 때문에 추가비용 지불없이 잘 배우시면 됩니다.  학교에서 캐드, 라이노 등을 주력으로 가르치신다 하더라도, 대부분 학교에서 라이센스 소유하고 있어서 따로 추가 지출없이 사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오늘 알아본 정보들이 각자 재정적 여건에 및 예산 짜실때 도움되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정보 모음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LATEST POSTS

RELATED POSTS

POPULAR POST

Contact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