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ECOMMENDED

[공지] - 크몽 전자책 서비스 출시 소식 "건축학과 졸업학기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모음"

안녕하세요! 오랜기간 동안 업로드를 못했습니다. 너무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는 거 같아요!  사실 저희 블로그 컨텐츠를 가지고 전자책 작성에 몰두하다보니 블로그 업로드가 많이 더뎠던것 같습니다. 전자책 작성에 굉장히 많은 시간을 할애했는데요. 적다보니 무려 163p나 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이 건축 졸업작품 진행에 있어서 더욱 가까이 도움을 드리고자 전자책을 작성하였습니다. 1. 전자책 소개글 이런 거는 왜 도대체 안 알려주지? 졸업 작품 전에 이런 거 좀 알려줬으면 잘 끝냈을 수 있었을텐데....ㅠㅠ 답답해서 제가 썼습니다. (전자책 내용 中 일부) "졸업 작품을 준비할 때의 그 막연함, 막막함, 부담감 등은 건축 전공자인 저자도 물론 느꼈으며, 동기, 선후배들도 공통적으로 겪어온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그런데 가장 큰 문제는 이 부분을 교수님들이 미리 알려주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졸업한 사람 입장에서 졸업 전시라는 것이 어떻게 생각하면 별 일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만, 이런 내용들을 미리 알았다면 잘 끝낼 수도 있었다는 후회도 많이 남았습니다. 어찌보면 마지막으로 자기가 하고픈 걸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건축학을 공부하고 졸업을 앞둔 시점에서 평생 기억에 남고 후회 없이 졸업 준비를 하고 싶으신 분 들을 위해서 정말 필요한 정보들을 꽉꽉 담아 넣어 놓았습니다. ----------------------------------------------------------------------------------------------- 이 글은 건축학을 전공한 친구들이 무사히 졸업 설계 및 전시를 진행하고, 진로 선택을 하는데에 필요한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정보 들을 압축해서 전달해줍니다! 또한 졸업 전시를 진행하면서 계속해서 작업을 도와줄 수 있는 가이드북으로써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잡기, 사이트 정하기, 프로그램 규모 정하는 법 등 건축학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에 대한 양질의 정보 를 담고 있습니다

[건축 졸업 작품 팁-5] 대지 분석 (site analysis) 방법 참고 팁

오늘은 지난번에 소개시켜 드렸던 
대지선정- 자료수집에 이은 안 보고 오셨다면(클릭)

대지 분석(site analysis)의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대지 분석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과정 앞의 글에서 대지로부터 수집한 양적, 질적 데이터들을 어떻게 건축적, 도시적으로 가공하는지, 그 방법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단순히 모아놓은 여러분들의 자료들을 건축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자료들로 가공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On Demand City, 장안평 중고차 시장 지역 대지 분석

이를 위해서 오늘은 대지 분석의 방법 중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디지털 출판 플랫폼인 'Issuu'에서 site analysis를 검색해서 여러 개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 반복되었던 사례들을 통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혹시 모르실 분들을 위해서 잠시 Issuu를 소개시켜드리자면 국내 해외(주로 해외) 비교적 양질인 디지털 출판 자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잡지 등을 업로드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건축분야에서는 주로 포트폴리오, 책, 발표 자료 등을 살피기 좋은 플랫폼입니다. (pinterest, archidaily와 함께 브레인스토밍하는데 유용합니다.)

본격적인 대지 분석 방법론 소개에 앞서

주의점은 이 방법론을 따라하시기 전에 '왜 사용해야하는 지에 대해서 스스로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는 습관'을 가지셔야 합니다. 오늘도 한 번 더 강조!합니다. 맹목적으로 따라하시는 것은 시간 낭비에 불과하며 대지 분석에도 또한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통해서 대지를 분석하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건축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이렇게 말입니다.

그것에 답을 내리는 과정들이 여러분들의 디자인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늘 명심하세요.





대지분석 방법


교수님께서

"사이트 분석 해 와" 
하시면

처음드는 생각은 보통

"뭘 해오라는거지?"

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말하자면 대지 분석이란 주제 탐색을 통해 여러분들이 제안하고자 했던 건축물이 타당하다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증거들을 대지로부터 가져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던 양적, 질적 정보들을 건축 디자인 시 참고하거나 고려해야 할 사안들로 정리하고, 프로젝트 방향성에 따라 자료의 중요도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일 것입니다.  

때문에 졸업 작품에서 대지 분석을 하다보면 사이트에 대한 정보가 여러분들의 주제와 깊은 연관을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이 여러분들의 주제에 매우 도움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적절하게 선정된 사이트면 사이트일수록 여러분들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디자인에 도움되는 정보들이 많이 발견될 것이고, 혹여나 예상치 못한 정보의 발견 또한 여러분들이 고려해야 할 소중한 정보들입니다.

사실, 디자인 목적에 따라서 의미를 발현하는 대지 분석의 자료들은 프로젝트와 사이트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대지 분석의 방법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의 프로젝트에 따라 주변의 "프로그램 현황"이 가장 중요할 수도 있고, 주변에 사는 "젊은 사람의 숫자"가 중요할 수도 있고, "자연으로 둘러싸여 있는 그 위치 자체"가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인가 공식처럼 '이걸 보고 이걸 해라'는 것보다, 스스로 주어진 자료를 가지고 어떤 것이 여러분들의 프로젝트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지 발견해낼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한 것입니다.

최종 결과물로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우리가 모아왔던 이런 자료들은 전부 의미를 발현해서 전달되지 못합니다. 프레젠테이션의 제한된 시간과 포맷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보여 주고 싶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정보들만 보여줘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따라서 여러분들께 가장 중요하게 보인 데이터를 찾아내고, 그것을 분석해내는 것, 나아가 그것을 여러분들의 작품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트 분석 방법이라는 것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것은 건축적이거나 도시적인 의미를 발현할 가능성이 높은 정보나 요소들 위주로 잘 살피는 것입니다. 많은 훈련이 안 되어있으신 분들이나 저학년 학생들은 오늘 소개해드리는 방법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소개시켜드리는 대지 분석 방법은 많이들 아실 수도 있고, 처음 보실 수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이렇게 체계적으로 해본 적은 부끄럽게도 제 기억에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보면서 이러한 방법들을 미리 알았었더라면 더 의미 있는 것을 발견해냈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께 소개시켜드립니다.


오늘 자료는 현재 issuu를 통해서 사람들이 site analysis를 한 것을 찾아보던 중 일련의 반복되는 방법론들을 나름 추려보았는데요. 많이 반복되기도 했고, 눈에도 띄는 두 가지 방법론들을 골라와봤습니다. 

  하나는 넓은 범위의 "MACRO-SITE 중심의 도시 스케일 분석" 방법과 좁은 범위의 "MICRO-SITE 중심의 건축 스케일 분석"으로 나름 이름을 정해보았는데요. 저도 어렴풋이는 이런 것들을 중요하게 생각해왔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은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서 대지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건축 졸업 작품 디자인 프로세스 상 넓은 범위의 사이트 조사 이후 세부적인 사이트로 좁혀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먼저 넓은 범위이자 도시 스케일의 분석 방법(요소)을 먼저 소개해드리고 좁은 범위이자 건축 스케일 분석 방법(요소)을 그 이후에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MACRO-SITE 중심의 도시 스케일 분석 - 케빈린치 도시분석 방법론 + S.W.O.T


먼저 Issuu에서 상당수의 사이트 분석이 도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 것을 조사합니다.


 특히 케빈 린치(Kevin Lynch)의 도시 분석 방법론 "Image of the city"(한국은 "도시환경디자인"이라고 번역되어 있는 책)에서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식, 도시의 5요소(5 element)라고 주장하는 path, edge, node, district, landmark의 도시의 분석 요소들로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있었습니다.

잠시 케빈 린치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리자면, 케빈 린치는 1970년대 주로 활동하던 MIT공대 도시과 교수였는데요, 그는 당시 모더니즘시기에서 기능주의적인 연구 사관을 깨는 "metal map"이라는 특별한 도시 분석 방법을 통해서 도시를 새롭게 해석하게 됩니다. 현대에 와서는 다소 주관적인 도시 분석 방법이라 가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그가 현대 도시 해석에 있어서 기여한 바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튼 issuu에서 발견된 학생들의 분석은, 사실 케빈린치의 연구 방법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닌, 도시의 이미지에서 path, edge, node, district, landmark 이 다섯 가지 요소들을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하되 다양한 자료들을 추가적으로 덧붙여 활용하여 나름대로 그 지역을 해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주된 구성을 살펴보면

1. MORPHOLOGY(of Urban Context) 형태
2. Landuse & Program(토지이용계획 + 프로그램현황)

3. Path(circulation) 길
4. Edge 에지
5. District 구역
6. Landmark 랜드마크
7. Node 노드


8. History & Cultural context 

등은 기본적인 요소로 가져가고 나머지들은 프로젝트 특징마다 추가적으로

Street culture, Visibility , Vegetation(green space), Population, Economical Issue, 그리고 실제 그 이용한 사람들을 조사한 User analysis 등을 더합니다.


여기에 재미있던 점은 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s.w.o.t분석의 방법론을 대지 분석에 적용하여 대지가 가진 강점들, 약점들, 기회들, 위협들을 분석하여서 한 보드에다가 표현하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S.W.O.T (strength, weakness, opportunities, threat) 


예시)
https://issuu.com/angelaleonghuiyi/docs/studio_v
https://issuu.com/vickylee30/docs/merged_site_analysis.compressed
https://issuu.com/fawwazskmn/docs/final_site_analysis_board

보여드린 예시들이 매우 잘 된 예시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예시를 보시면 어떤 식인지 감은 오시리라 믿습니다.


무튼 제가 도시 쪽은 전공이 아니여서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이것이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해서 도시를 분석하는 전형적인 틀로 작동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와 같은 분석 방법은 저도 학생 때에는 알지 못하였었는데, 이런 방법은 실제 필드에서도 꽤나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acro한 분석은 결국 도시의 전반적인 컨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The Image of the City cover,
Kevin Lynch, 1960, MIT Press


저서 :
The Image of the City
Kevin Lynch, , 1960, MIT press,

2)  MICRO-SITE 중심의 건축 스케일 분석



마찬가지로 Issuu의 디지털 출판물들 중 자료들을 보면 또 한 가지 두드러지는 분석 방법이 나옵니다.

 Edward T White 라는 분께서 1982년 지으신 저서 "Site Analysis"를 참고한 분석 자료들인데요.



실제 이 책의 서두에서는 건축을 하는 우리가 주의 깊게 보아야 할 요소들에 대해서 소개를 해줍니다.

1. LOCATION (위치)
2. NEIGHBORHOOD CONTEXT (주변 컨텍스트)
3. SIZE AND ZONING (크기와 조닝)
4. LEGAL (법)
5. NATURAL PHYSICAL FEATURE (자연적 물리적 특징)
6. MAN MADE FEATURE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특징, 도시공간적 특징을 이야기하는 듯)
7. CIRCULATION (동선)
8. UTILITIES (기관시설, 통신, 전기, 쓰레기 등등)
9. SENSORY (감각)
10. HUMAN AND CULTURE (사람과 문화)
11. CLIMATE (기후)

위와 같은 방법은 대지가 확실하게 정해졌을 때 주로 활용하기 좋은 건축 스케일의 분석방법입니다. 


이미지는 스캔해서 올려드리고 싶지만 저작권 문제 때문에 링크를 달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용 정리 이미지들 :
슬라이드

https://issuu.com/aneesenordin/docs/booklet_design_amended


다소 우리가 예전에 기계적으로 분석했었던 조금 올드할 수 있는 대지 분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잘 뜯어보면 여전히 유효한 요소들이 많습니다.


Site Analysis: Diagramming Information for Architectural Design book cover,  

EDWARD T. WHITE,1982, ArchiBasics Press



저서 :

Site Analysis: Diagramming Information for Architectural Design, 

EDWARD T. WHITE,1982, ArchiBasics Press



대지 분석 방법의 활용 


이와 같은 분석 방법이 있다라는 것을 아시고 그 요소들이 왜 건축적이고 도시적인 의미를 가지시는지 한 번 생각해봅시다.

여러분들이 정한 대지, 지역, 장소를
오늘 제가 소개해드린 요소들에 모아 놓은 데이터 중 해당하는 것을 분류해보세요.

그것을 통해 그 데이터가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요소'들을 통해 그 지역의 안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생각하시다보면 점점 더 그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맨 앞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SWOT, 즉 그 지역이 가진 강점, 약점, 기회, 위협 등이 도출될 수 있고,

그것을 가지고 여러분의 이러한 맥락 속에서 여러분이 제안하는 건축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혹은 여러분들의 프로젝트를 통해서 도시 전반적인 혹은 그 주변 지역에 어떤 효과가 있을지를 생각하시고 상상하시다보면,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조닝(방과 방, 동과 동 사이의), 배치 등이 여러분들의 프로젝트의 윤곽이 점점 더 잡혀져 나갈 것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드리지만, 이 방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프로젝트 내용에 따라서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고, 더욱 유효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욱이 오늘 소개해드린 방법들은 자칫하면 물리적인 것만에 집착할 수 있도록 오해하실 수도 있습니다. 물리적인 것들 뿐만 아니라 사람 사이의 이야기, 역사, 관계, 실제 사용자들의 반응들 또한 요소에서 포함되어있습니다. 지역과 그 도시를 이해하는 데에 활용가능하다는 점을 꼭 잊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사실 위에서 소개해드린 사이트 분석(site analysis) 방법론은 데이터의 1차 가공이자 실제 도시 설계나 여러 수업의 전문적인 과정 중에서 사이트 분석만을 위한 사이트 분석 자료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팀 작업인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전부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것도 있다라는 점을 참고하시고 필요에 맞게 골라서 쓰셔야 합니다.


우리는 혼자서 졸업 작품을 위한 사이트 분석을 하는 중이기 때문에 현재의 상태(4주차)에서는 저 정도의 퀄리티로 표현할 필요까지 없습니다. 여러분과 교수님이 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A3에 간단하게 인쇄하여 트레이싱 지나 혹은 펜 스케치 자료를 통해 수집해놓은 수준 정도에서 PPT나 인디자인에 그냥 얹어놓은다는 느낌으로 최대한 빠르게 정리해서 내용전달을 위주로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디자인 내용을 전개할 때 교수님께서 근거가 무엇이냐 혹은 의문이 있으신 것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모아놓은 해당 자료들을 교수님께 보여주시고 함께 논의해서 디자인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모인 자료들을 가지고 여러분들이 건축 디자인 제안을 할 때 정말 필요한 분석자료들을 뽑아내는 능력이 더욱 필요합니다.  모르시겠으면 교수님께 이 요소들 중에서 무엇이 이번 설계에서 유의미한 자료로 작동할 지 혹은 이 요소들 외에 그런 것들이 있는지 여쭤보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더 많은 자료들은 Issuu에서 'site analysis' 를 직접 검색해보시면 더 다양한 방법들 보실 수 있습니다. 스스로 찾는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더욱이 이 시기에는 어떻게 이쁘게 그리고 꾸몄느냐보다 무슨 내용을 담아 그것이 어떻게 건축으로 발전되었는지를 더 자세하게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꾸미기는 방향성이 설정된 이후에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남으시거나 뭔가 생각하기 싫을 때 틈틈히 만드시는 것은 말리지 않습니다.ㅎㅎ


사실 꾸밀 시간은 꽤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중간 크리틱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취합되고 정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중간 크리틱 준비할 때에 중요한 자료들이나 발표 때에 꼭 보여줘야 할 자료들을 적극 가공하셔서 '다이어그램화'시키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은 현대건축에서 가장 큰 이슈라고 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훌륭한 졸업 작품 만드시길 기원하고 오늘도 제 포스팅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이전글 : [건축 졸업 작품 팁-4] 사이트(대지) 선정과 자료 수집 방법

다음글 :  [건축 졸업 작품 팁 -6]건축 다이어그램 그리기

참고 : 캐드지도 구하기

수치지도 레이어 코드 이해하기

댓글

  1.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저야말로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삭제
  2. 혹시 작성자님 졸전 작품 공유가능하실까요ㅠ 저도 미래 도시를 상상하며 계획해야하는데 어떻게 대지조사를 시작해야할지 막막해서요ㅠ

    답글삭제
    답글
    1. 저 같은 경우는 '대지 자체'가 없었어요. 하나의 방법론 'prototype'을 제시했었거든요. 사실 '미래 도시'가 10년이 되었던 20년이 되었던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거잖아요? 충분히 어려우실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졸업 작품에서는 대지 조사가 의미 없다고 여겨 진행하지 않았고 도시를 만드는 하나의 방법론만 만들었었습니다. 대신에 이 방법론을 하나의 공모전에서 실험해본 적은 있어요!
      그리고 4학년 때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사이트를 기반으로 생각할 수 있는 가까운 미래를 그렸었구요.

      이메일 알려주시면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해놓은거 잘라서 보내드릴게요! (3년 전꺼라 좀 후져서,,, 부끄럽긴 하지만 ㅠ.ㅠ ) @if_h.una 인스타그램 DM으로 이메일 주소 보내주세요~

      삭제
  3. 안녕하세요 건축학과 학생으로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혹시 저도 포트폴리오 보내주실 수 있으신 가요? 보내주신다면 제 실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ifhunablog@gmail.com 혹은 인스타 디엠으로 본인 이메일 알려주세요~

      삭제
  4. 안녕하세요! 졸전 준비하면서 도움 많이받고있습니다! 괜찮으시다면 저도 포트폴리오를 받을 수 있을지 여쭤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ifhunablog@gmail.com 혹은 인스타 디엠으로 본인 이메일 알려주세요~

      삭제
  5. 안녕하세요 건축학과 학생입니다. 우연히 이 글을 보게 되어 다른 것들도 들어가보면서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3학년이긴 한데 학부제였어서 1학년은 버리고 2학년이 되어서야 설계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3학년인 현재까지도 정확한 방법이나 방향을 찾지 못하고 막막한 심정으로 있습니다. 괜찮으시다면 저도 포트폴리오를 받을 수 있을까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답글삭제
    답글
    1. ifhunablog@gmail.com 혹은 인스타 디엠으로 본인 이메일 알려주세요~

      삭제
  6. 안녕하세요 현 4학년 건축학과 학생입니다. 항상 정립된 이론 없이 멘땅에 헤딩 식으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항상 설계시 사고하는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론에 대해 배우고 싶었는데 우연히 이 글을 접하게 되어 블로그의 모든 글을 정독중입니다~ 덕분에 더욱 체계적인 사고와 절차 하에 설계를 진행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괜찮으시다면 저도 포트폴리오를 받을 수 있을까요? 제 이메일 주소는 chan990803@naver.com입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답글삭제

댓글 쓰기

ADVERTISEMENT

LATEST POSTS

RELATED POSTS

POPULAR POST

Contact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