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건축과 도시에 대한 가능성을 생각하고 그리고 그것을 통해 사람의 인프라를 만들어가는 IF..H UNA (Urban and Architecture)건축도시의 정보 저장소입니다
RECOMMENDED
1914-1918 '지적원도'와 '조선지형도 오만분의 일' 지도에 기입되어 있는 QGIS 좌표계 공유
안녕하세요. 건축도시정보저장소 인포휴입니다.
우리나라 근대기 고지도인 1914-1918 '지적원도'와 '조선지형도 오만분의 일' 지도에 기입되어 있는 QGIS 좌표계 두 개 공유드립니다.
최근 지적원도를 활용한 연구 작업 중 어려움을 겪었었는데, 비슷한 문제 겪으시는 분들 위해 공유드립니다. (저도 기억할 겸 정보 저장 차)
일제가 제작한 1914~1918 지적원도를 '지리참조자' 통해서 'QGIS'로 작업중이였는데, 여기 기입되어 있는 좌표계를 아무리 적용해도 안되더라구요.
QGIS 화면 캡쳐, 좌표부분 표기 X,Y=184500, 238800 ~> 투영좌표계 중 하나인듯, 확인결과 EPSG:5170아무리 검색해도 안나와서 찾느라 애먹었었다가 최근 챗지피티랑 같이 대화하면서 계속 찾아서 겨우 알아냈습니다 (저만 몰랐나요..)
우선 지적원도는 국가기록포털 지적아카이브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Main.do
제 연구작업 기준 1914~1918 지적원도 기준, 정읍, 고부지역 찾았었고,
좌표계는 EPSG : 5170 사용하니까 잘 적용되었습니다 (서울 지역도 되는지는 아직 확인안해봤습니다)
참고로, 또 근대시기 수치지형도 (건물, 지형, 등고 등 표현) 고지도인 조선지형도 오만분의 일
지도도 많이 사용됩니다. 이건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플랫폼 가셔서 '종이지도'에서 받으시거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대지리정보 들어가셔서 명칭 검색 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링크는 여기 있습니다. https://hgis.history.go.kr/mod_g1/main.do
아울러 QGIS 내 불러들이실 때에는 좌표계 EPSG : 4301 Tokyo 사용하시면 됩니다.
| 구분 | 지도명 | 제작 시기 | 제작 기관 | 주요 용도 | QGIS 적용 좌표계 (EPSG 코드) | 비고 |
|---|---|---|---|---|---|---|
| ① 지적원도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지적원도』 (전라북도 정읍·고부 일대 등) | 1914–1918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토지조사 및 지적 등록 | EPSG:5170 (Tokyo 1892 / Korea Central Belt) |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에서 다운로드 가능 |
| ② 조선지형도 오만분의일 | 『朝鮮五萬分之一地形圖』 (Jeong-eup, Gunsan, 등) | 1914–1917, 1924 | 조선총독부 陸地測量部 | 근대 수치지형도 (등고선, 건물, 하천 등) | EPSG:4301 (Tokyo / Japan) | 국토지리정보플랫폼 또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대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운로드 가능 |
얼마나 보실 지 모르겠으나, 다들 각자 연구에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