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ECOMMENDED

[온라인강의] 건축학과에서 살아남기 All in One - 건축학과에서 필요한 7가지 프로그램 학습을 한번에

안녕하세요! 이번에 건축 강의 플랫폼인 PACER에 건축다이어그램 작성에 관한 소프트웨어 학습 온라인 영상 강의를 런칭했다는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1. 강의 내용 건축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의 4가지 유형(대지분석 다이어그램, 컨셉다이어그램, 디자인프로세스 다이어그램, 해체도 다이어그램 등) - 세부 예제 10개를 같이 따라그려보면서   건축학과에서 필요한 7가지 툴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강의입니다. 특히, 라이노 - 일러스트레이터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한 드로잉 작성법을 배우고, 여기에 그래스호퍼, QGIS, PPT, 엔스케이프 등을 보조적으로 배워봅니다. 2. 이런분들이 들으시면 좋아요 이번 강의는 이론부터 실습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리는 입문강의입니다. 그래서, 이제 본격적으로 건축을 공부하고 싶으시고 방학 맞이하신 1~3학년 저학년 친구들이 들어보시면 좋지 싶어요! 4~5학년 고학년 학생들도 아직 툴에 능숙하지 않으시다면 들으셔도 무방합니다! 3. 강의 볼륨 강의는 총 96강 분량으로 약 900분(15시간) 정도 분량입니다. OT 및 마무리 제외 이론부 9강과 실습부 83강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아래는 강의 예시 이미지입니다! 방학기간 동안 저와 같이 스탭업 한 번 해봐요! :) 강의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와 맛보기 강의는 아래 링크 Pace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Pacer 링크 >>>  https://pacer.kr/product/12357/

[건축연구]건축 도시 대학원 진학자 혹은 재학생이 읽으면 정말 도움되는 책 2권 추천

 안녕하세요. 다들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벌써 개강 시즌이네요!


오늘은 간단하게 대학원 들어오실 예정이거나, 대학원 생활을 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도움 되는 책 두 권 정도 추천드릴까 해요. 이 블로그가 건축 및 도시 블로그이다 보니, 제가 이야기를 전개할 때 이 분야에 몸담은 사람의 관점으로써 글이 전개되는 점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대학원 과정을 진행하다보면, 건축학과의 학부의 설계 과정 때처럼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디자인 형태를 만들어내기 위한 사고 방식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거나 한계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졸업 요건으로 캡스톤, 설계안 등은 허용 안하고 반드시 '논문'을 써야하는 서울대의 경우나, 건축 이외에 공학 베이스로 진행되는 '도시' 쪽으로 전공을 바꾼 경우 방향조차 잡지 못하고 헤매는 친구들을 정말 많이 보았습니다.  제 경험 상 이런 어려움은 학부에서 바로 온 학생들 뿐만 아니라 필드에서 오랜 경험을 쌓고 대학원에  입학하시는 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를 겪는 원인으로 그간 5년 간 디자인과 기능에 충실하도록 교육 받은 건축학 교육 시스템에서 배운 학생들의 태도 및 능력과 대학원에서 전통적으로 진행하는 '연구'와 '논문작성'에 필요한 태도 및 능력 사이에 본질적으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잠시 대학원 과정의 최종 목표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대학원의 목표'는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이고,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해야 합니다. 연구자가 진행한 연구를 글의 형태로 학계에 보고하고, 이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타당한 근거로 만들고 이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 및 해석을 덧붙여 어떠한 것에 대해 '주장'하면 그 글은 '논문'이 됩니다.

대학원의 학위는 논문을 통해 대학교의 심사위원들이 심사를 받고, 이를 통과하게 되면 학교에서 수여해주는 것입니다. 

대학원의 과정은 결국 '연구'와 '논문 작성'을 위한 능력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건축학과 혹은 디자인 대학들의 설계에 집중되어 있는 교육은 설계 안을 만들어내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면, 연구는 그 설계가 타당한 이유를 만들어내기 위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그것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결론이 중요하냐 그러한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충분한 근거를 만들었느냐가 두 사이의 차이인데요. 

많은 경우에 건축 계획 안이 타당하다고 보이는 그 기준과 근거는 해석하는 사람마다 (특히 지도교수님과 게스트 크리틱들) 너무나도 다르고 가끔은 정말 모호해서, 그 가치와 평가는 천차만별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연구는 연구를 수행하는 어느 정도 적절한 방법들과 요구하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결정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제 경험 상 이런 두 차이 때문에 건축학과 친구들은 자신의 아이디어와 그 결론에 대해서 집중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런 특징들은 다른 전공자들에 비해 연구를 진행하기 매우 불리하게 작동합니다.


종합해보자면 우리 건축학과 출신들의 학생들은 이런 불리한 점에서 빠르게 탈출해야 합니다. 특히  대학원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맞추고 연구로 원활하게 졸업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설계''연구' 두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분명하게 알고, 하루라도 빠르게 스스로를 설계자에서 연구자로 모드를 전환하고 하루라도 빨리 연구와 논문 작성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갰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 추천드리는 책 두 권은  '논문'이란 무엇인지, 또 그 글쓰기를 통해 '주장'하는 것이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책들입니다.

먼저, '논문'이 무엇인지 도움이 될 책은, 

모든 대학원생들의 필독서로 여겨지는 故움베르토 에코의 "논문 잘쓰는 방법"입니다.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석학 중 한 사람인 움베르토 에코가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위해 졸업하는 학생들을 위해 논문 쓰는 방법을 알려준 굉장히 실용적인 저서입니다. 

주제잡는 노하우, 자료에 대한 접근, 관리 등 실제 논문을 쓰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들을 알려줍니다.

쓰여진 연대가 약 1970년대 후반 경이라 굉장히 옛날이긴 합니다만, 오늘날에 읽어보아도 예나 지금이나 상황은 비슷하고 배울게 많은 책입니다. 꼭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다른 하나는 최근에 지인에게 추천 받은 

조셉 윌리엄스와 그레고리 콜럼의 '논증의 탄생'이라는 책인데요. 

읽어보니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던 책입니다. 원제목은 "The Craft of Argument"라는 책으로 '주장의 기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주장'할 때 어떻게 논리를 전개해야하는지, 주장의 본질적인 구조는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이유와 근거, 그리고 근거 보고 등을 알려줍니다. 또 이를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는 여러가지 사례들을 통해 이해시켜줍니다.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수료 이후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저에게도 이 두책은 정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에코의 저서는 석사 논문쓰면서도 계속 읽었던 것 같고, 윌리엄스 책은 1회독은 하였지만 앞으로 계속 시간될 때마다 읽을 생각입니다. 

대학원에 들어가기로 마음먹은 친구들이거나 이미 대학원생이신데 길이 안 보인다고 생각하시면 이 두 책을 꼭 읽어보세요.


추천드리는 순서는

만약 대학원 입학 전이라면, 논증의 탄생만 읽으셔도 무방할 듯 합니다. 대학원에 꼭 입학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애초에 글쓰기 자체를 향상시켜줄 수 있어서 여러가지로 도움이 됩니다.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개진할 줄 아는 힘은 면접이나 자소서 등은 물론이고 앞으로 사회를 살아가는데에 있어서도 정말 큰 능력이자 힘이 되기 때문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되실 거에요.


대학원에 이미 입학하신 분이라면, 두 책은 무조건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순서를 굳이 따진다면 움베르토 에코 책 먼저 읽으시고, 논증의 탄생을 읽어보세요.


이 두 책은 기본기를 익히는 저서이지만, 꼭 필요한 기초라고 생각합니다.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건물을 세울 수 없다는 점, 건물을 세운다고 한들 금방 무너지거나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모쪼록 두 책을 통해서 대학원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LATEST POSTS

RELATED POSTS

POPULAR POST

Contact

이름

이메일 *

메시지 *